노코드 with pandas : bamboolib and pandasGUI

Jinhwan Kim
4 min readOct 27, 2020
pandasgui 아이콘, 못생겼다.

python으로 데이터 분석을 하는 사람들에게 pandas는,
밥 먹는 것만큼 자주 쓰게 되는 “데이터 프레임을 다루는” 라이브러리 입니다.

pandas에 대한 내용을 깊게 다룰 목적은 아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좋은 튜토리얼이 있어서 해당 링크만 첨부하겠습니다.

pandas 10분 완성 — 데잇걸즈

아무튼, CUI 기반 프로그래밍이나 데이터프레임이 아직 익숙하지 않은 분들에게는, pandas가 잘 만들어진 라이브러리 라고 해도 이를 사용하는 것이 일종의 숫자야구와 같은 느낌일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나마 조금 더 쉽게 사용 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일종의 debug처럼.

  • 커맨드를 실행할때마다
  • head나 describe등을 통해 결과 데이터프레임을 확인하고
  • 다시 커맨드를 실행하는 단계

를 반복하는 것이겠죠.

ETRI 감성정보 서비스 기술동향 참조

이러한 일련의 프로세스에 대해서 사람이라는 생명체의 “설계”상,
대부분의 정보를 시각을 통해 받아들이기 때문에
GUI 기반의 “업그레이드”는 대부분 좋은 결과들을 가져왔습니다.

이에 대한 대표적인 예시로 마우스를 상용화 했다고 알려진 애플이 있으며

특히나 요즘에는 코드에 대한 깊은 지식이 없이도 혹은 개발자 의존도가 높지 않은 상태에서도 소프트웨어를 개발, 실행 할 수 있게 한다 라는 의미랑 비슷한 노코드의 컨셉이 이와 유사한 이유와 필요성에서 나타났다고 생각합니다.

pandasGUI는 이러한 pandas 기반의 프로세스들을 시각적으로 표현해낼 수 있는 pandas를 보강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입니다.

비슷한 역할을 하는 라이브러리로, bamboolib 라는 것도 있습니다.

두 라이브러리의 reference를 기반으로 작성한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bamboolib (튜토리얼)
  • Data Transformation
  • Data Visualization
  • Data Explore
  • Prediction ( based on Decision Tree of sklearn )
  • 소스코드 비공개 (조건에 따라 유료)

bamboolib은 (위의 튜토리얼에 따르면) jupyter 상에서 실행하려면 추가적으로 진행해야하는 프로세스가 있습니다.

2. pandasGUI (튜토리얼)

  • Data Explore
  • Data Visualization
  • Data Transformation
  • Import files with GUI
  • Search
  • 현재 베타버전

사실 pandasGUI를 colab에서 돌려보고 싶었지만, 안타깝게도 지원을 하진 않는 것 같습니다.

아쉬운 대로 로컬에 설치된 jupyter notebook으로 했는데 제 기본 테마가 어둠의 다크여서 사용에는 아쉬움이 있었습니다. ( 이 문제는 테마를 바꾸면 해결이 됩니다 )

결국 제가 생각하기에 두 라이브러리의 가장 큰 차이점은
유료인데 분석 기능 제공 vs 무료인데 조금 더 쉬운 사용 이 될 것 같은데요

개인적으로는 두개 중에 하나를 선택하라면 pandasGUI를 선택할 것 같습니다. bamboolib의 장점인 prediction은 굳이 bamboolib를 끼지 않고 scikitlearn 같은 다른 라이브러리로도 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특히나 GUI에 pd.read_csv를 쓰지 않고 바로 explorer에서 마우스로 끌어다가 데이터를 읽을 수 있다는 점은 입문자를 대상으로 한 pandasGUI의 아주 큰 장점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문제는 이 라이브러리가 macOS에서는 그래프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 하지 않는 이슈가 있습니다. 그래프 기능을 제외하고는 정상적으로 돌아가기 때문에 조금 아쉽지만 베타라는 걸 감안하면 (앞으로 고쳐질 수 있음) 상당히 좋은 툴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

No responses yet